제주 개발의 서곡을 알리는 역사로 ‘일주도로’와 ‘5·16도로’를 빼놓을 수 없다.제주 해안선을 따라 개설된 일주도로가 도 전역을 1일 생활권으로 만들었다면 한라산 동쪽을 가로질러 산남·북을 연결하는 5·16도로는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1시간대로 단축시킴으로써 대동맥 역할을 톡톡히 수행했다.▲5·16도로는 원래 제주시 관덕정에서 현 서귀포시청까지 이르는 43㎞ 구간 도로를 말한다. 이 도로는 1932년 한라산 동쪽 750m의 능선을 넘어 제주시와 서귀포시를 잇는 임도로 개설됐다. 그 후 1943년 지방도에 이어 1963년 2월
한라산을 횡단하는 5.16도로의 명칭이 과거 군사정권을 상징하는 만큼 변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주도의회에서 제기됐다.이에 대해 오영훈 제주도지사는 5.16도로 명칭에 대해 "개인적으로 좋아하지 않는다. 바꿨으면 하는 마음"이라면서도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13일 열린 제주특별자치도의회 제444회 제2차 정례회 도정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 김대진 의원은 "평화를 상징하는 이름을 회복할 수 있도록, '516 도로'의 명칭 변경을 위한 작업이 조속히 추진되기를 공식적으로 강력히 건의한다"고 밝혔다.김 의원은 "올해는 19
‘제주4·3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와 4·3의 세계화’를 주제로 한 제15회 제주4·3평화포럼이 지난 13일부터 14일까지 제주썬호텔에서 열렸다.제주4·3평화재단이 주최·주관한 이번 포럼은 제주4·3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의 의미를 짚어보고, 4·3 세계화를 위한 과제를 점검하는 국제 학술대회로 마련됐다.포럼 첫날 기조강연에는 1999년 4·3 수형인명부를 최초로 공개하며 진상규명에 기여한 추미애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 나섰다.추 위원장은 “제주4·3 해결에 가장 큰 걸림돌은 오랜 세월 이어진 색깔론이었다”며 “4·3에 씌워진 낙인
경기 수원시도서관사업소가 공공도서관 표준자료관리시스템을 13일부터 공공부문 민간 클라우드인 SaaS로 전환하면서 AI 도서관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하기 위한 첫발을 내디뎠다.전국 공공도서관 최초로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운영 환경을 클라우드 서비스로 전환했다. 수원시 공공도서관 20곳, 공공도서관 내 도서관 4곳, 사립도서관 1곳 등 25곳에 도입했다.SaaS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핵심 모델 중 하나로.
자동차 IT 스타트업 주식회사 카바가 신차 구매자와 자동차 딜러를 연결하는 플랫폼 ‘카바딜러’를 공식 오픈했다고 14일 밝혔다.카바딜러는 신차를 구매하려는 고객이 현금 지원율, 신차 패키지, 혜택 조건을 한눈에 비교하고 자신에게 맞는 딜러를 쉽고 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서비스다. 특히 차량 구매 시 정보를 얻기 어려워 구매자가 직접 대리점을 방문하거나 여러 딜러에게 일일이 문의해야 하는 점 등을 개선해 구매자와 딜러 모두에게 효율적인 연결 경험을 제공코자 한다.또한 간편한 사용 방식을 구현했다. 이용자는 회원가입 없이 차량 브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