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의 7월 수출은 선박 호조 덕에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자동차·석유·석유화학 등 전통 주력 산업에서는 여전히 감소세가 이어졌다. 국제 유가 하락과 수요 둔화가 주된 감소 요인으로 꼽히지만, 지난 4일부터 발효된 미국발 상호관세 발효가 향후 울산 주력 산업 수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할 지 주목된다.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는 19일 ‘2025년 7월 울산 수출입 동향 및 하반기 수출 전망’을 발표했다.울산무협에 따르면, 7월 울산 수출은 전년 동월보다 7.3% 늘어난 77억달러를 기록했다. 전국 수출(608억달러, 5.